CS/자료구조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순차 리스트 (ArrayList) 1. 추상 자료형이란?구체적인 기능의 완성과정을 언급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능이 무엇인지를 나열한 것이다. 추상 자료형은 사용하는 영역에 따라 의미상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본질적으로 같은 맥락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생각하고 이해해야한다. 자료구조에서 추상 자료형은 선풍기의 사용 설명서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용 설명서에 정지, 미풍, 약풍, 강풍, 회전, 타이머 등의 기능 설명과 사용 방법이 나와있지만 실제로 선풍기 내부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이렇게 사용자가 선풍기의 본질을 몰라도 사용할수 있는 것이 추상 자료형이다.구체적인 기능의 완성과정을 언급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능이 무엇인지 나열한 것이다.자료구조 구현(미풍, 약풍, 강풍 등)과 구현된 자료구조의 활용(선풍기 동작원리)는.. 재귀(Recursion) 1. 재귀 함수란 무엇인가?재귀함수란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함수 내에서 자신을 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을 호출하게 된다면 함수를 재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동일한 함수를 복사한다. 종료 조건이 없다면 무한 루프에 빠지기 때문에 종료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 종료 조건을 만나게 된다면 단계적으로 처음 호출한 함수로 돌아오게 된다.2. 재귀 함수의 디자인 사례재귀함수는 자료구조나 알고리즘의 문제를 단순화 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재귀는 수학적 수식을 그대로 코드로 옮길 수도 있는데 팩토리얼(factorial)값을 예로 들수 있다. 팩토리얼은 n!로 n! = n * (n-1) * (n-2) * ... * 2 * 1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패턴을 재귀함수를 이용해 디자인하게 될수있다.#include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이해 1. 자료구조란 무엇인가?자료구조는 데이터를 표현하고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데이터의 저장을 담당하는 것이 자료구조이다. 파일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파일도 자료구조에 포함이 된다. 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자료구조가 데이터의 표현 및 자정방법을 뜻한다면 알고리즘은 표현 및 저장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문제의 해결 방법을 뜻한다.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자료구조가 결정되어야 그에 따른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결정할 수 있다.3.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시간 복잡도시간 복잡도란 속도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의 수행시간 분석결과이다. 공간 복잡도에 비해 구현의 난이도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가 많지 않고 성능에 덜 민감한 경우 사용한다.공간 복잡도공간 복잡도란 프로그램.. 이전 1 다음